2024. 4. 1. 10:15ㆍ사진으로 보는 대한민국

▲첨성대는 국보 제31호로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 관측대라고 한다.
고대 사회에서 천문을 살피는 일은 국가의 길흉을 점치는 국가적 관심사였다.
그래서 신라 선덕여왕 때 축조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.
첨성대는 다듬은 돌을 받침대 위에 27단으로 원통으로 쌓아 올렸는데
아래쪽이 넓다가 위쪽으로 가면서 좁아지는 형태다.
그리고 그 위에 긴돌을 맞물려 우물 井자 모양으로 만들었다.
또 안쪽은 12단까지 자갈과 흙으로 채우고 그 위로는 비워 두었으며,
13단과 15단 사이에 정남향으로 창이 있다.
그 창문을 통해서 사람이 드나들며 천문을 관측했을 것이라고 한다.

▲첨성대가 선덕여왕때 축조 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기록은 삼국유사에서 기인한다고 한다.
삼국유사의 지기삼사(知幾三事),즉 선덕여왕이 즉위하면서 예측한
세 가지 신비로운 일을 기록한 부분의 말미에 첨성대를 쌓았다는 기록이다.
여기서 선덕여왕이 예측한 세 가지는 다음과 같다.
첫째는 당나라 태종이 선물로 보낸 모란꽃 족자에 나비가 없는 것을 보고
모란에 향기가 없음을 알아낸 일이다.
두 번째는 영모사의 연못에서 겨울에 많은 개구리가 운다는 얘기를 듣고
여근곡(女根谷)에 백제군이 매복했음을 알아낸 것이며,
세 번째는 자기가 죽을 날을 예측한 것이다.













▲
국보 제 31 호인 첨성대는
어렸을 때 참 동경의 대상이었다.
별을 관측하는 곳이라고 해서 말이다.
내가 어렸던 그때까지만 해도 별을 굉장히 신성시했기 때문이다.
그 첨성대를 그동안 지나가듯 스치기만 했지
가까이서 천천히 카메라에 담으면서 많은 시간 감상해 보기는 처음이다.
첨성대에 사용된 벽돌은 일 년 365일을 상징하는 의미에서
365개의 화강석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.
그처럼 여러 가지 과학적인 건축물임에도
내 눈에 비친 첨성대는
넓은 공간과 조화를 이루는 완벽한 예술품이었다.
우주의 중심이라도 된 듯 광활한 공터 한가운데 우뚝 솟은 모습은
마치 신라인의 자존심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.
[경주여행]4.한국판 피라미드, 대릉원 (4)쌍상총과 마총
▲오른쪽 작은 무덤이 쌍상총이다. 쌍상총은 돌방무덤(석실)으로 내부에 2개의 덧붙여진 주검 받침대가 발견되어 쌍상총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. 그러니까 요즘으로 말하면 부부 합장인 셈
gabo.tistory.com
[경주여행]5.한국판 피라미드, 대릉원 (5)천년 세월의 신비 ㅡ봉황대 고분(鳳凰臺 古墳)
▲수백 년 된 느티나무가 여럿 자라고 있는 봉황대. 왕릉의 이름으로는 조금 독특한 이름이다. 이름만 독특한 게 아니라 마치 동산처럼 노거수가 자라고 있는 모습 또한 신비롭다. 봉황대는 한
gabo.tistory.com
ㅡ2024.03.21.경주 첨성대 ㅡ
'사진으로 보는 대한민국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경주여행]10.경주 가볼만한곳,교촌마을의 봄(경주향교) (27) | 2024.04.05 |
|---|---|
| [경주여행]9.월정교 (35) | 2024.04.03 |
| [경주여행]8.신비의 천년 숲 계림(雞林) (34) | 2024.04.02 |
| [경주여행]7.경주 가볼만한곳, 월성 (27) | 2024.04.01 |
| [경주여행]5.한국판 피라미드, 대릉원 (5)천년 세월의 신비 ㅡ봉황대 고분(鳳凰臺 古墳) (11) | 2024.03.31 |
| [경주여행]4.한국판 피라미드, 대릉원 (4)쌍상총과 마총 (26) | 2024.03.31 |
| [경주여행]3.한국판 피라미드, 대릉원 (3)천마총 (26) | 2024.03.30 |
| [경주여행]2.한국판 피라미드, 대릉원 (2)미추왕릉 (30) | 2024.03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