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photo essay 지리산 종주이야기] 제7화. 연하천 대피소에서 꿀맛 점심.

2024. 6. 12. 15:53오르다/100대명산

 

[photo essay 지리산 종주이야기] 제6화. 산상의 장터 화개재(화개장터)와 토끼봉.

[photo essay 지리산 종주이야기] 제5화. 노루목과 반야봉 지나 삼도봉에 오르다.[photo essay 지리산 종주이야기] 제4화. 피아골과 임걸령.[photo essay 지리산 종주이야기]제3화.꿈길 같은 산길 걸어 돼지

gabo.tistory.com

▲(위의 제6화에 이어지는 글)

▲시간은 이제 12시를 넘어서고 있다.

서서히 배가 고파오는 시간.

아직도 점심을 먹을 연하천 대피소까지는 3km를 더 가야 한다.

 

 

▲연하천으로 가는 길에 가끔씩 만나는 꽃.

무슨 나무의 꽃인지?

수수하고 이쁘다.

 

 

▲길은 거칠고 체력은 바닥을 향해서 가고 있지만

갈수록 깊어가는 지리산 풍경에 다시 힘이 났다.

빼꼼히 보이는 산등성이도 운치 있고,

나무들 사이로 보이는 푸른 하늘과 흰구름도 운치 있다.

반응형

▲토끼봉에서 연하천 대피소까지는 3km.

거친 오르막이 2번,

한 번의 긴 내리막이 있는 구간이다.

728x90

▲명선봉을 지나면서 본 천왕봉,

내일의 최종 목적지 천왕봉이 빼꼼히 보인다.

좌측 끝 뾰쪽하게 솟은 봉우리.

 

 

▲명선봉(明善峰)은 1,583m로 토끼봉과 삼각봉 사이에 있는 봉우리다.

그러나 종주 능선에서 150m쯤 벗어나 있어서 그냥 지나치는 봉우리다.

그 명선봉 아래 연하천대피소가 있다.

 

 

▲힘들지만 소소한 볼거리가 피로를 덜어주는 구간.

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!

즐기며 즐기며 걷는다.

 

 

▲나무 화분.

그 속에서 자라는 앙증맞은 이름 모를 풀들.

터 한 번 잘 잡았다.

품어주는 자, 안긴 자.

더불어 사는 자연.

얼마나 아름다운가?

 

 

▲드디어 연하천 대피소 직전의 마지막 데크길을 걷는다.

산상에서 만나는 대피소라는 희망.

그래서일까?

이 길은 올 때마다 유난히 아름답게 느끼지는 데크길이다.

 

 

▲오후 2시 30분.

연하천 대피소에 도착했다.

6년 전에 하룻밤을 묵었던 대피소라서 더 정겹게 다가왔다.

식수도 풍부하고 잠자리도 비교적 쾌적한 대피소.

연하천(煙霞泉).

언뜻 들으면 하천을 생각하기 쉬운 이름이다.
실제로 나도 산속에 웬 하천일까? 하는 생각을 했었다.

그러나 사실은 근래에 지어진 이름이라고 한다.

구례 '연하반' 산악회에서 지었단다.

그러니까 산악회 이름의 연하를 딴 모양이다.

'구름 속에 흐르는 물줄기'라는 뜻.

아무튼 이 지역은 늪지대라서 사계절 수량이 많기로 유명하다고 한다.

 

 

▲연하샘.

연하천 대피소에서 늦은 점심을 먹었다.

지친 아내는 쉬고 내가 지친 몸을 이끌고 준비를 했다.

꿀 맛이다.

메뉴는 햇반 2개를 구입해서 라면 1개와 김치.

그리고 충분히 휴식을 취하고 생수를 보충해서 벽소령을 향해서 출발.

 

 

ㅡ2024.06.02.연하천 대피소. ㅡ

반응형